여성 ( 남자분도) 여러분 진통제 사용시 주의하세요 > 커뮤니티

본문 바로가기

커뮤니티

     

여성 ( 남자분도) 여러분 진통제 사용시 주의하세요

페이지 정보

본문

진통제는 다른 약에 비해 생활 속에서 자주 찾게 되지만 복용법을 정확히 지키지 않으면 여러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진통제는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일반 진통제와 처방 후 큰 병원 안에 있는 약국에서만 제조해 주는 마약성 진통제로 나뉜다. 진통제에 대한 대표적인 궁금증을 문답으로 풀어본다.

 

Q 아무 진통제나 먹어도 되는가?

A 일반 진통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와 해열진통제(아세트아미노펜) 등으로 나뉜다. 근육통·관절염 등은 소염진통제, 감기 몸살·두통·치통 등은 해열진통제를 복용한다. 둘은 성분이 다르니 약국에서 무작정 “진통제 주세요” 하지 말고 꼭 증상을 말하고 구입한다. 제품별로 위장장애·신독성·혈소판 기능 억제 등 부작용이 있으므로 평소 위·신장·혈관 계통 건강이 안 좋으면 진통제 구입 시 약사에게 알린다. 해열진통제는 감기처럼 열이 나면서 통증이 있을 때 복용하는데, 하루에 4g(약 8정 분량) 이상 복용하면 안 된다.

Q 진통제는 누구에게나 효과가 똑같은가?

A 진통제는 아세트아미노펜·살리실레이트·이부프로펜 등 성분이 각각 다르다. 사람마다 잘 듣는 성분이 따로 있으니 진통제 효과가 없으면 허용 범위 안에서 복용량을 늘려 보고, 그래도 약효가 없으면 다른 진통제로 바꾼다. 아세트아미노펜은 중등도 통증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다. 임신 중에 사용해도 된다고 알려졌으며 수유 중 복용해도 괜찮다. 살리실레이트는 중등도 통증을 치료하는 데 좋으며, 혈전생성을 억제한다. 고용량에서는 항염 효과가 있다. 이부프로펜은 항염작용을 가진 약으로, 해열 효과가 뛰어나다.

Q 진통제 효과는 복용 후 얼마 만에 나타나고, 어느 정도 지속되는가?

A 진통제는 일반적으로 복용 후 30분~1시간 지나면 효과가 나타나며 복용 후 2~3시간이 지나면 진통·해열 효과는 최대로 올라간다. 이 효과는 보통 4~6시간 정도 지속된다.

Q 많이 먹을수록 약효가 더 세지는가?

A 아니다. 진통제는 복용량을 아무리 늘려도 약효가 더 이상 커지지 않는 ‘천장효과’가 있다. 만약 효과를 더 보겠다고 계속 용량을 늘리면 부작용 위험이 커진다. 복용량을 늘렸는데 약효가 동일하거나 복용 간격이 줄면 천장효과로 보고, 다른 진통제로 바꾼다.

Q 어떤 부작용이 있는가?

A 소염진통제는 신장·위·혈관, 해열진통제는 간에 부담을 준다. 진통제는 제품마다 안 좋은 영향을 주는 신체 부위가 다르므로, 지병이 있는 사람은 약사에게 알려 부작용이 덜한 것을 고르거나 병원에서 처방받아 복용한다. 이부프로펜 성분이 든 소염진통제는 속쓰림, 오심, 식욕부진 등의 부작용이 있다. 아스피린을 비롯한 살리실레이트 성분 진통제는 출혈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수술이나 발치 등을 하기전에는 최소 48시간 전부터 해당 진통제 복용을 중단한다. 아세트아미노펜 성분의 해열진통제는 항염증 효과나 항혈소판 효과, 요산배설 효과는 없지만 아스피린과 교차 내성이 없어 아스피린에 과민한 사람도 복용할 수 있고, 위장장애나 항응고제를 투여받는 환자도 복용할 수 있다. 그러나 식사를 규칙적으로 하지 않거나 술을 자주 마시는 사람이 복용했을 때 간독성이 유발될 수 있다. 일반 의약품으로 구입할 수 있는 해열진통제는 비교적 안전한 제제다. 설명서를 충분히 읽고 용법과 용량 등을 잘 지켜 복용하면 걱정할 필요 없다. 지나치게 열이 높거나 해열진통제를 복용해도 열이 떨어지지 않는 경우, 오한이나 고열이 3~4일 지속되는 경우에는 다른 질환일 수 있다. 이때는 해열진통제 복용을 중지하고 병원을 찾아 진찰받는다.

Q 진통제를 오래 먹으면 내성이 생긴다던데?

A 아니다. 천장효과는 있지만 내성은 안 생긴다. 천장효과는 복용량을 늘려도 통증 감소 효과가 더 이상 커지지 않는 것을 말하고, 내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통증 제거를 위한 진통제 요구량이 증가하는 것을 말한다.

Q 아스피린과 함께 먹어도 되는가?

A 심혈관질환 예방을 위해 아스피린을 먹는 사람은 다른 진통제를 함께 복용하기 부담스러워한다. 그러나 장용코팅(위가 아닌 장에서 녹게한 특수 코팅) 아스피린은 대장에서 녹으므로, 두통이나 감기 때문에 다른 진통제를 먹는다고 위·간 기능에 부담이 가중되는 것은 아니다.

Q 술 마시고 머리 아플 때 먹어도 되는가?

A 해열진통제는 술과 상극이다. 해열진통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간 손상, 위장관 출혈 등인데, 술을 마시고 간이 알코올을 분해할 때 약을 복용하면 부작용 위험이 매우 커진다. 술 마신 뒤 생기는 두통을 없애려면 의사나 약사와 상담후 적합한 약을 처방받는다.

Q 아이에게 성인용 진통제를 먹여도 되는가?

A 성인용과 어린이용 진통제는 성분 함량이 다르다. 소아는 신장·위장·간 등 대사기능이 성인에 비해 떨어지므로 어린이용 진통제를 먹인다. 다만, 어른용 진통제 설명서에 어린이 용량이 따로 적혀 있다면, 용량을 지켜서 먹이면 된다. 가끔 아이가 열이 있을 때 빨리 열을 내리기 위해 정해진 용량보다 많은 약을 먹이는 엄마가 있는데, 매우 위험한 일이다. 의약품 복용 시, 사용설명서 지시사항을 따르고 나이와 몸무게에 따라 정확한 양을 복용한다.

Q 마약성 진통제는 언제 처방받는가?

A 주로 암환자의 통증을 다스릴 때 마약성 진통제를 쓰는데, 90%가 효과를 본다. 대상포진 후 신경통이나 복합부위통증증후군 등 중추신경 이상 때문에 생기는 심한 만성통증도 마약성 진통제로 조절한다. 다만, 대사능력이 떨어지는 노년층은 마약성 진통제를 복용하면 호흡곤란으로 저산소증에 빠질 수 있으니 용량을 적게 쓴다.

Q 마약성 진통제는 중독되지 않는가?

A 마약 성분인 모르핀·메타돈·펜타닐 등이 들어 있지만, 마약은 아니다. 마약성 진통제를 쓰는 환자가 마약 성분에 중독될 가능성은 0.1% 미만이다. 의사가 환자 상태를 살펴가면서 가벼운 마약성 진통제부터 쓰기 때문에 위험하지 않다. 다만, 남이 쓰던 마약성 진통제나 예전에 처방받았던 약을 멋대로 먹으면 중독될 수 있다.

Q 마약성 진통제는 어떤 부작용이 있는가?

A 마약성 진통제 부작용은 약에 따라 다르지만, 변비·졸림증·구역감·배뇨장애·호흡곤란 등이 나타날 수 있다. 의사가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하기 전 부작용에 대해 알려준다. 여러 종류의 마약성 진통제를 조금씩 혼합해 쓰면 진통효과는 유지되면서 부작용 위험은 준다. 부작용이 생기면 약 복용 간격을 늘리거나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약을 함께 쓴다.

Q 한방 진통제도 있다는데, 어떤 원리인가?

A 한방에서 통증은 침, 뜸, 한약 등 다양한 방법으로 치료한다. 막혀 있는 경락을 뚫어 기혈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오장육부 기능을 조절해 자연스럽게 통증을 조절하는 것이다. 《동의보감》에는 ‘옻나무는 통증을 가라앉히고 순환을 돕는 효과가 있다’고 쓰여 있다. 한방에서는 옻나무를 치료약으로 개발해 어혈과 담음을 제거하고 진통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처방한다. 침치료는 전침·이침·레이저침·약침·봉독침 등이 있다. 모두 막힌 기혈을 뚫어 정상적으로 기혈이 흐르도록해 통증을 없애는 원리다.

/ 취재 한희준 기자 hj@chosun.com
도움말 남동우(경희대한방병원 침구과 교수), 신재혁(서울시원한통증의학과 원장), 허양임(서울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추천0 비추천0

댓글목록

profile_image

JAmstone님의 댓글

no_profile JAmstone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진통제도 맘대로 못먹겟내옴

profile_image

ㅠㅇㅓㅓㄹㅡㅓ님의 댓글

no_profile ㅠㅇㅓㅓㄹㅡㅓ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profile_image

ㅠㅇㅓㅓㄹㅡㅓ님의 댓글

no_profile ㅠㅇㅓㅓㄹㅡㅓ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작성일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ST Humans Pty Ltd

Level 5,123 Lonsdale St Melbourne VIC 3000
+61 3 9044 3852/Korea: 070 8227 1817
info@sthumans.com

Copyright © hojubada All rights reserved.